본문 바로가기

note

외할머니

언제라도 누구라도 안녕 사랑해 하고 헤어질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.

 

이렇게 살다가는 바빠서 죽을 시간도 없겠다고,

죽음이란 단어가 낄 자리가 없게 바쁨바쁨 삶삶을 이어나가다 보면

그렇게 터부시했던 죽음이 '아니야, 이게 너의 삶이야.' 하며 빼꼼 인사를 한다.

 

*

산 사람은 살더라-는 미명하에 잊고 지냈던 이별들이 떠오른다.

풍수지탄이라며 엉엉 울었던 졸업식날하며,

삶 한조각이 떨어져 나간듯한 그 시간들,

내일 만나자했는데 오늘 만나게 된 친구.

이유없는 무덤이 없듯 미련없는 이별도 없더라.

 

...

아이가 잠들듯 평안히 가셨다는 외할머니.

중학생일때 할머니를 모시고 살았었는데

그땐 할머니의 밥먹어라 → 제가 알아서 먹을께요 이게 지겨운 일상이던 시절이었다.


어느날 하루는 보다못해 할머니가 즉석떡볶이 사다 놓은걸 해주셨는데

그냥 다 넣고 끓이면 된다고 생각하셨던 할머니가

방부제인지 습기없애는 뭐인지 하여튼 먹으면 안될 무엇까지 넣어버린 것을 보고 엄청 화를 냈던 적이 있다.
그리고 희한하게도 이게 이십일 전쯤 할머니 혈압이 쭉 떨어졌을때 제일 먼저 생각난 풍경이었다.

 

누군가의 죽음이란 결국 나와 그의 관계에서 기억에 남는 한 장면을 떠올리는 거라는 생각.

 

 

 

반응형

'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어 오랜만이야  (0) 2015.11.06
2015/1/7  (0) 2015.01.24
엄마와 눈썹  (0) 2014.12.06
십이월  (0) 2014.12.01
한글날 데이트  (0) 2014.10.11